본문 바로가기
임신.출산

2023 출산장려금, 출산 지원금- 경기 지역별 금액, 신청방법, 가장 많이 주는 곳은? 남양주시, 김포, 성남, 수원, 안양, 하남, 의정부

by 베스트정 2023. 4. 18.
반응형

2023년 출산장려금, 출산지원금은 얼마일까요? 출산지원금은 정부가 아닌 지자체에서 지원하기 때문에 지역마다 출산지원금이 모두 다릅니다. 
 
그리고 출산장려금도 매년 달라지는데요. 저는 작년에 둘째아임에도 불구하고 30만 원을 받았는데(남양주시), 올해 2023년은 첫째 아부터도 100만 원이나 준다고 합니다. (아쉽네요;;)
 

 
아무래도 아이가 적게 태어 나거나, 지자체 예산이 많은 곳은 출상장려금을 많이 주고, 출산율도 높거나 지자체에 예산이 많이 없는 곳은 출산 장려금이 그리 많지 않더라고요.

그리고 첫째, 둘째 아까지는 그리 많이 주지 않지만 셋째부터 100만 원 이상 주기도 하더라고요.

제가 사는 지역도 출산율이 높은 편이라 그런지 작년에 둘째아임에도 불구하고 30만 원만 받았습니다.

자기가 속한 지역의 출산장려금은 해당 시군구 홈페이지나 주민센터 등에 문의해 보시면 됩니다.
 
 

 
 

 

 
 

 

2023년 출산 장려금 신청 방법

오프라인으로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행복복지센터)에서 신청하기.

아기가 태어나면 주민센터에서 출생신고를하게되면 각종 출산 혜택의 안내 및 신청을 알아서 처리해 줍니다.
 

 

2023년 출산장려금 지역별 금액

더 자세한 내용(대상, 지원내용, 방식, 신청방법 등)은 해당 지자체 사이트의 내용을 참고하세요!
 
 

 
 
 

 

지역첫째아이둘째아이셋째아이넷째아이다섯째아이
가평군100만원400만원1000만원2000만원 
고양시100만원200만원300만원  
과천시100만원150만원300만원500만원 
광명시70만원    
광주시30만원50만원100만원  
구리시50만원100만원200만원300만원 
군포시100만원300만원500만원700만원 
김포시50만원    
남양주시100만원    
동두천시100만원150만원250만원500만원 
부천시없음없음없음800만원 
성남시30만원50만원100만원200만원300만원
수원시없음50만원200만원500만원 
시흥시없음없음없음800만원 
안성시100만원    
안양시100만원200만원300만원500만원 
양주시없음없음없음300만원800만원
양평군500만원500만원1000만원2000만원 
여주시100만원500만원1000만원  
연천군100만원200만원500만원1000만원 
용인시30만원50만원100만원200만원300만원
의왕시100만원200만원300만원500만원 
의정부시없음100만원   
평택시50만원100만원200만원300만원 
포천시100만원300만원500만원1000만원 
하남시50만원100만원2000만원1000만원 
화성시100만원200만원300만원  

 

  • 남양주시 출산 혜택 확인하기

출산장려지원사업 < 모자보건사업 < 보건서비스 : 남양주시 보건소

www.nyj.go.kr

 

    

 

출산장려금 가장 많이 주는 곳은?

경기도에서 출산장려금을 가장 많이 주는 곳은, 양평군이 가장 많이 주네요. 첫째에 500만 원이라니. 정말 많이 주네요!
 
가평군, 고양시, 과천시, 군포시, 남양주시, 동두천시, 안성시, 안양시, 여주시, 연천군, 의왕시, 포천시, 화성시도 첫째 아부터 100만 원 출산 지원금을 주네요. 

아이를 많이 낳지 않으니 점점 지원금액이 커지는 것 같습니다.

 

지원 대상, 지급 방법

출산 장려금은 이름이 출산 지원금, 출산 축하금 등 다양합니다.
 
지원대상도 아주 다양합니다. 아예 다자녀 출산지원금이라고 해서 첫째 아는 출산장려금이 없고 둘째나, 넷째부터 주는 곳도 있고요.
 
또 첫째아, 둘째아, 셋째아 출산장려금 모두 다르기도 하고, 첫째 아든 둘째아든 출산 시마다 금액이 똑같기도 합니다. 

지급 방법도, 현금으로 바로 주기도 하고, 50% 현금 나머지는 상품권등으로 주기도 하며, 또 지역화폐로 주기도 합니다.

2023년 출산장려금은 각 사이트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하여 일부 내용이 다를 수 있으니, 정확한 정보는 해당 주민센터에서 다시 한번 확인해 보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