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에서는 임산부에게 교통비를 지원해 주는 사업이 있습니다. 서울시에 사시는 임산부께서는 꼭 신청하셔서 혜택을 받아보세요.
임산부 교통비 지원 금액
임산부 1인당 교통비 70만원을 지원해 줍니다.
임산부 교통비 지원 금액 지원 방식
임산부 명의의 신용카드나 체크카드에 70만 원의 포인트로 지급해 줍니다.
임산부 교통비 지원 대상
주민등록상 6개월 이상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임산부를 지원해 줍니다.
임산부 교통비 신청 기한
임신 후 3개월 또는 12주 차부터 출산 후 3개월까지 신청을 할 수 있어요.
임산부 교통비 포인트 사용처
버스, 지하철, 택시 등 대중교통에 사용할 수 있어요. 대중교통을 이용하지 않고 자차를 이용하시는 임산부는 유류비로도 사용할 수 있어요.
그리고 올해부터는 기차요금으로도 사용할 수가 있어요. 고속열차 요금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코리엘 사이트에서 표를 구매할 경우에만 포인트 사용이 된다고 합니다.
임산부 교통비 포인트 사용 기한
임신 중 신청할 경우에는, 분만 예정일로부터 12개월(1년)까지 사용이 가능합니다. 출산 후에는 자녀 출산일부터 12개월(1년) 안에 사용을 해야 합니다.
사전 준비
- 본인 명의의 체크카드 또는 신용카드가 미리 준비되어 있어야 합니다.
신한카드(국민행복카드만 가능), 하나카드, BC카드(하나 BC, IBK기업은행), 우리 카드, 삼성카드, KB국민카드 사의 본인 명의 카드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 임신 기간 중 신청할 경우, 정부 24의 맘 편한 임신통합서비스신청을 통하여,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사업'을 미리 신청해 두어야 합니다.
정부 24 '맘편한 임신' 온라인 통합처리 신청
맘편한 임신 서비스 지원 | 원스톱 서비스 | 똑똑한 서비스 | 정부서비스 | 정부24
접속량이 많아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잠시 후 다시 접속해주세요
www.gov.kr
임산부 교통비 지원 신청 방법(임신기간 중 신청)
- 온라인 : 정부 24홈페이지의 메인 페이지에 있는 '맘편한 임신' 메뉴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임신 등록 하실 때 엽산, 철분제, 임산 출산비진료 지원 등의 타 서비스를 등록하실 때 모두 함께 동시에 신청하시면 됩니다.)
맘편한 임신 서비스 지원 | 원스톱 서비스 | 똑똑한 서비스 | 정부서비스 | 정부24
접속량이 많아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잠시 후 다시 접속해주세요
www.gov.kr
- 온라인 :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 홈페이지에서 신청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 홈페이지가 따로 있어요. 여기서 회원가입을 하고 (서울 주소지이신 분들만 회원가입이 가능합니다), 로그인한 후 신청 하면 됩니다.
그리고 임산부 교통비 지원금 사용 현황도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잔액 확인은 여기 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https://www.seoulmomcare.com
www.seoulmomcare.com
- 오프라인 신청 : 관할 동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신청이 가능하고, 본인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분증, 임신확인서, 본인의 신용카드, 체크카드 (또는 휴대폰)를 지참하시면 됩니다.
임산부 교통비 지원 신청 방법(출산 후 신청)
- 온라인: 출산을 이미 하셨고 임신 기간 중 혜택을 못 받으셨다면,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 홈페이지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https://www.seoulmomcare.com
www.seoulmomcare.com
- 오프라인: 관할 동주민센터를 방문하시면 되며, 본인 또는 대리인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준비서류(본인): 신분층, 본인의 휴대폰 또는 신용, 체크카드
준비서류(배우자): 배우자 신분증, 출산자의 휴대폰 또는 신용, 체크카드
'임신.출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왕절개 출산 입원 준비물, 출산 가방 리스트, 산후조리원 준비물 (2) | 2024.06.14 |
---|---|
프리랜서 출산급여, 1인 사업자, 개인사업자 자영업 임산부 150만원 혜택 받기! 온라인으로 간단하게 신청(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 지원) (0) | 2023.04.25 |
경기도 산후조리비 지원 신청, 결제 방법, 남양주시 산후조리비 중복 지원-2023년 부터 적용 (0) | 2023.04.19 |
2023 출산장려금, 출산 지원금- 경기 지역별 금액, 신청방법, 가장 많이 주는 곳은? 남양주시, 김포, 성남, 수원, 안양, 하남, 의정부 (0) | 2023.04.18 |
[출산비용 총 정리] 제왕절개 수술 비용(1인실), 산후조리 비용, 보험처리 (0) | 2023.03.10 |
댓글